갑상선암 정밀진단 위한 NTRK 알고리즘 개발
최근 유전자 분석 기술의 발전은 암 치료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특정 암을 발생시키는 유전자 변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목표로 하는 표적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갑상선암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발생하는 다빈도암이며, 일부 경우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진단을 위한 맞춤형 유전자 검사법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의료진이 갑상선암의 정밀 진단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맞춤형 유전자 검사법의 유효성을 증명했습니다.
갑상선암 정밀진단의 필요성
갑상선암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유전자 변이가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특히, NTRK 유전자는 신경세포의 성장과 신호 전달을 돕는 역할을 하며, 특정한 돌연변이가 발생했을 때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갑상선유두암종의 일부 환자에게서는 NTRK 유전자 변이가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정밀 진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개발된 새로운 알고리즘은 갑상선암 진단의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NTRK 융합 진단 알고리즘의 개발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연구팀은 갑상선유두암종에서 NTRK 유전자 융합을 진단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습니다. 연구팀의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BRAF p.V600E 변이가 없는 갑상선유두암종을 대상으로 NTRK 유전자 변이 탐색
- pan-TRK(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해 암세포 내 변이 단백질 확인
- 차세대염기서열 분석(NGS)을 통해 다양한 유전자 융합 및 조직병리학적 특징 간의 상관관계 분석
이 연구에서는 특히 pan-TRK에서 H-score가 높은 경우 NTRK 유전자 융합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H-score가 110 이하인 경우에는 조직학적 특징을 추가 평가함으로써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조직학적 특징의 중요성
NTRK 융합암종에서 발견되는 조직학적 특징은 이 알고리즘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연구팀이 확인한 조직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여포성 구조: 갑상선암 세포가 둥근 주머니 모양으로 배열된 구조
- clear cell: 암세포의 세포질이 투명하게 보이는 형태
- secretory-like cell: 분비물을 많이 분비하는 것처럼 보이는 세포
- 유두상 구조 내 미세소엽형성
- 사구체 유사구조: 신장의 사구체처럼 암세포가 모여 있는 구조
이와 같은 조직학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NTRK 유전자 변이를 가진 갑상선암을 효율적으로 선별하고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맞춤형 유전자 검사법의 효과
연구팀은 ‘Thy-Chase panel’을 통해 NTRK 및 RET 유전자 융합 진단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 패널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갑상선암 맞춤형 유전자검사 키트로, 기존의 진단 방법보다 더욱 정밀한 검사 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 기존의 pan-TRK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인한 비특이적인 양성 반응의 한계를 극복하고, NTRK 및 RET 유전자 융합의 정확도를 높이는 새로운 진단 접근법이 수립되었습니다.
정찬권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갑상선암에서 NTRK 및 RET 융합 유전자를 보다 정밀하게 선별하여 표적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진단 전략을 제시했다”며, “향후 연구를 통해 맞춤형 치료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Endocrine Pathology’에 게재될 예정이며, 대한갑상선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갑상선암의 정밀 진단을 위한 NTRK 알고리즘 개발은 암 진단 및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는 곧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를 통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